상대방과 나의 거리재기가 매우 중요한 실험체입니다. 초반에 강한 타이밍과 빠른 이동속도를 기반으로 킬 캐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양한 광역 스킬과 cc 기를 보유하고 있고 체력 템을 올려도 딜이 나오는 실험체의 특성상 솔로뿐만 아니라 듀쿼드에서도 쓸만한 실험체입니다.
레녹스 스킬의 핵심은 Q 끝부분 맞추기, W 와 R 2타 확정타 시키기입니다. Q부터 설명을 하자면 끝부분에 맞추면 추가 대미지를 입히는 스킬의 특성상 다른 스킬들보다 거리재기가 중요한 스킬이고, 상대방과 나의 거리를 재면서 Q 끝부분을 여러 번 히트시키는 게 중요합니다.(가능하면 교전 시작 전에 Q를 야생동물 등을 이용해 2스택을 쌓고 교전하시면 상당히 좋습니다.) 두 번째로는 레녹스의 E와 D(무기 스킬) 을 이용한 cc 기로 W와 R을 확정 히트시키는 것이 레녹스 교전의 전부라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합니다.
루트 순서: 공장-숲-모래사장-호텔-양궁장
1. 공장: 다른 루트도 그렇지만 이 루트는 호텔 생명의 나무 싸움을 하기 때문에 1루트를 최대한 빠르게 끝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스타팅 포인트와 상관없이 파밍 루트를 최대한 하이퍼 루프 쪽으로 타주면서 파밍 해줍니다. 꼭 먹지 않아도 되는 아이템은 고철(호텔에서 나옴), 못 한 개(하나는 모사에서 무기 뽑기 위해 필요함 백우선에 쓰는 못은 양궁장에서 파밍가능), 붕대(학교에서 나옴) 외 모든 것은 최대한 먹어주셔야 합니다. 추가로 라이터는 한 개 더 챙겨주셔서 물 2개를 뜨거운 물 6개로 만들어주세요.(숲 가서 삶은 계란 or 탕약 만들어야 함)
2. 숲: 모래사장으로 통하는 두 개의 입구 쪽으로 가면서 파밍 해주세요. 꼭 먹지 않아도 되는 아이템은 원석(모래사장에서 나옴)이고 깃털 한 개를 못 먹었으면 무기부터 만들어주세요. 그리고 만약 공장에서 못을 한 개밖에 못 먹었으면 군선을 만들지 말고 모래사장에서 쥐덫과 합쳐 가시 발판을 만들어주세요. 또한 계란이나 약초를 뜨거운 물과 합쳐서 체력 회복 템을 만들어주세요. 또한 꿀도 챙겨서 모래사장에서 탄산수와 합쳐 콜라를 만들어주시면 좋습니다(뜨거운 꿀물 만들지 말 것)
3. 모래사장: 피아노선(호텔에서 나옴)을 제외한 모든 아이템을 전부다 먹어주세요. 또한 숲과 모래사장 자판기 아래의 돌이나 모래사장에서 호텔 올라가는 계단 아래의 돌을 꼭 캐주셔서 비질란테를 만들어주셔야 템 창이 안 꼬입니다. 여기까지 1일차 낮 40~60초 남았으면 성공적입니다.
4. 호텔: 최대한 빨리 나뭇가지를 캐고 들개에서 가죽을 얻어주세요 그리고 바람막이를 먹으면 호텔생나 전에 글레이프니르-방탄조끼-비질란테-샤자한-타키온-백우선 템이 완성될 것입니다. 추가로 감시 카메라나 망원 카메라를 만들어두시면 생나 싸움을 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생나를 먹었으면 호텔에서 옷감과 얼음을 챙겨주세요. 만약 교전이 길어지거나 주변에 사람이 많아서 생나를 못 먹을 거 같다 생각하시면 과감히 스킵 해주세요. 루트 특성상 생나를 먹지 않아도 완성 템이 나오기 때문에 충분히 화력이 나옵니다.
5. 양궁장: 만약 생나를 먹으셨다면 양궁장 전에 학교를 들러서 슬리퍼를 챙겨서 글레이셜슈즈를 만들어주시고 양궁장에 오시면 됩니다. 양궁장에서는 승복 하나만 먹으시면 됩니다.
----------------------------------------------------------------------
여기까지가 풀 템을 맞추는 루트이고 이제 자신이 뉴 비티를 벗었다, 숙련자다 하시는 분은 뇌룡편, 제국 왕관 빌드 업을 필수적으로 하시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빌드 업하는 방법은 루트 끝난 후 학교-번화가-연못 루트를 타면서 학교에서 모자, 가위, 채찍, 면도 칼 번화가에서 배터리 연못에서 황금 2개, 루비(모래사장에서 미리 빌드 업하셔도 좋습니다)+ 방전전지를 위해서 물 뜨기까지 해서 뇌룡편과 제국 왕관을 만들어주세요(뇌룡편은 14렙 이후 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빌드업까지 끝났으면 최종 템은 뇌룡편-EOD슈트-제국왕관-샤자한-글레이셜슈즈(타키온)-백우선 이 완성되는데 글레이프니르+비질란테보다 후반 밸류가 훨씬 좋으니까 꼭 필수로 빌드업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후반 교체템
*레녹스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10~20퍼의 쿨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후반 템 세팅을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무기-혈화구절편>=뇌룡편>글레이프니르
옷-미스릴>=카바나>=EOD
다른 부위에서 쿨감을 추가로 챙겼다면 무조건 미스릴이나 카바나로 바꿔주세요. 고스증 캐릭터(쇼이치, 혜진 등)이 살아있다면 미스릴 갑옷이 좋습니다.
머리-제국왕관or황실 부르고넷 중에 선택해주세요 만약 체력이 모자르다 생각하면 제국왕관이 더 좋지만 레녹스는 후반에 체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쇼이치같은 폭딜러가 없다면 황실 부르고넷을 껴주세요. 스킬증폭률도 더 높고 이동속도,쿨타임 감소 모두 레녹스에게 찰떡인 옵션입니다.
팔-스카디>>프로미넌스or오토암즈>샤자한
팔은 스카디가 제일 좋지만 제국왕관,미스릴갑옷등을 장착해서 쿨감이 모자라다면 프로미넌스를 착용해주세요.
다리-글레이셜>>>헤르메스>타키온>>>풍화륜
글레이셜을 못만들었는데 포스코어가 있다면 헤르메스를 만들어주세요.
장식-백우선or요명월
보통 경우에는 백우선이 더 좋지만 후반 막금구때 스증 딜러들이 많이 생존했다면 요명월로 바꿔주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교전법은 스킬노하우에 있습니다 꼭 읽어주세요!
초반 생나싸움이나 풀템직후 교전을 못했다면 최대한 사려주면서 야생동물 파밍을 통해 숙작과 레벨링을 해주세요 레녹스는 위클라인, 알파 오메가는 잘 못 잡지만 다른 야생동물은 잘잡는 축에 속해서 이를 이용해서 성장해 줍니다. 초반에 킬을 못 따거나 교전을 못해도 숙작이랑 레벨링을 꾸준히 해준다면 뇌룡편을 이용한 후반 포텐셜로 잘만하면 우승까지 노려볼 수 있습니다.
가깝게 붙어서 딜을 하지 않는 레녹스의 특성상 현우의 벽꿍각을 피하기 상당히 쉽고 벽꿍을 당하지 않는 이상 현우는 쉽게 팰 수 있습니다.
쌍검,양손검,도끼,단검 모두 상대하기 쉽습니다. 보통 재키가 E로 붙어서 WR을 키고 딜교를 시도할텐데 EW로 충분히 거리를 벌릴 수 있기때문에 상대하기 매우매우 쉽습니다.
루크도 상대방한테 계속해서 붙어서 딜링을 하는 캐릭터의 특성상 레녹스로 이기기 매우 쉽습니다. 루크의 두번째 Q를 레녹스의 E로 끊을 수도 있고, 루크가 W를 켜서 나한테 붙을때 무기스킬과 E등을 거의 확정적으로 맞출 수 있어서 큰 실수를 하지 않는 이상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초반에 만나는 낭아봉 스증매그너스에게 벽꿍으로 죽는거 아닌이상 스증, 체젠, 평매그 모두 레녹스가 패는 상성입니다. 스증매그가 W를 쓸때 레녹스도W를 써서 거리만 벌리는것만 기억해주세요
니키와 같이 계속 상대와 붙어서 딜링을 하는 캐릭터의 경우 레녹스가 상대하기 매우 쉬운데, 니키는 그 중에서도 상대하기 쉬운축에 속합니다. 다만 W카운터와 분노E의 기절 등 너무 무지성으로 맞는걸 주의하면서 교전해주세요.
동성장의 아델라의 경우 상대하기 쉽습니다. Q카이팅을 하면서 거리재는 레녹스의 특성상 아델라의 강화Q는 피하기 쉽고 이로인해 아델라는 레녹스를 상대할때 콤보를 넣기 굉장히 어렵기때문에 아델라Q를 피하는것을 교전 최우선으로 해주신다면 이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의 피가 애매한데 킬하고 싶어서 들어갔다간 퀸WR맞고 골로 갈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아드리아나가 E를 먼저 사용한 상태라면 상대하기 쉽지만 E가 있는 아드리아나 상대로 무리하다간 지는 상황이 자주 나오기때문에 이 상황에선 무조건 딴다 이런게 아니라면 아드리아나와 무리하게 교전 시도를 하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아드리아나와 거리가 먼 상황에서 아드리아나가 궁W를 소비하면서 추노를 한다면 오히려 붙어서 싸운다면 역킬각을 볼 수 있습니다.
버니스에게 RW평평평평을 맞고 시작하지 않는 이상 쉽게 상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붙어서 싸우지 마세요.
Q끝부분을 맞춰야하는 레녹스의 특성상 캐시가 Q를 계속 사용하여 붙고 EW로 거리를 벌려도 궁 Q 와 같이 붙을 수 있는 스킬이 많기 때문에 상대하기 특히 까다롭습니다. 최대한 캐시를 Q끝부분으로 밀어내어 맞춘다는것을 생각하면서 플레이 해주세요. 다만 캐시가 바로 들어오지 않고 거리를 재면서 각을본다면 상대하기 쉬워집니다.
먼저 미스틸키아라의 경우 아마조네스갑옷, 기사단장의 투구등 스킬데미지감소 아이템을 두르기 때문에 먼저 진입하여 궁을 맞춘다면 따기 힘들어지고 추노하는 과정에서 E를맞고 뭐고 하다보면 역킬각이 나오니까 Q카이팅으로 최대한 피를 빼놓으면서 교전을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두번째 치명키아라의 경우 궁타이밍에 WE등을 쓰면서 거리를 조절하여 키아라의 E를 맞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일레븐이 이동기로 진입할때 도발을 킬텐데 이때 W를 써주면서 빠져주세요 만약 도발궁을 맞으면서 교전을 시작한다면 무조건 집니다. 궁은 못빼더라도 도발은 빼고 교전해주세요.
엠마의 모자 궁만 생각하면서 거리재기+Q카이팅을 해준다면 상대하기 쉽습니다. 다만 딸피라고 무리하게 추노하다가 모자궁 암기무스 비둘기Q2타 등등 을 맞으면 역킬각이 나오니까 주의해주세요.
모든 피오라들을 초중반에는 쉽게 이길 수 있지만 후반의 경우 피오라의 깜짝 풀딜을 맞고 죽을 수 있으니 EW를 잘 사용하면서 교전해주세요. 피오라가 E를 거리 좁히는데 사용했다면 거의 이길 수 있습니다. 다만 후반에 가챠템을 뽑은 피오라의 경우 보통의 피오라를 생각하면서 상대하면서 싸우다보면 죽어있기 때문에 이 점만 조심해주세요.
혜진은 난이도 중이지만, 상대방의 숙련도의 따라 천차 만별인 실험체라고 생각합니다. 혜진과는 교전하면서 생각할게 많은데 Q짤이랑 공포 스택을 생각하면서 교전해주세요. 하지만 혜진의 이동부를 끊거나, 뺐다면 체력이 얼마 없는 혜진을 원콤에 녹일 수 있으니까 공포와 이동부 빼고 거리를 좁히는것을 중점으로 생각하고 교전해주세요.
레온은 W타이밍때의 폭딜이 상당히 강한데 레온이 W을 켰을때 레녹스의 EW을 이용해 거리를 벌리고 Q카이팅을 해주세요. 다만 상대 레온이 들어오지 않고 Q로 간만보고 들어올 생각을 안한다면 그냥 교전을 포기해주세요 레온의 Q가 레녹스의 Q보다 사거리가 길기 때문에 무작정 Q를 히트시키겠다고 들어가다간 레온의 ER콤보 골로 가버릴 수 있습니다.
리다 또란 상대방한테 계속 붙어서 딜링을 하는 캐릭터이지만, 취기관리가 잘된 리다이린의 경우 침묵을 먼저 맞은 상태에서 풀콤보를 맞을 경우 끔살 당하는 경우도 있으니까 주의해주세요. 리다이린이 Q콤보를 시작할때 WE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벌려준뒤 끝나갈때 쯤에 교전하는걸 추천합니다.
포킹을 많이 맞으면서 교전을 시작하지 않는 이상 상대하기 쉬운축에 속합니다 다만 너무 붙어서 나타폰의 EW를 이용한 풀콤보를 맞으면 역킬각이 나오기 때문에 이부분만 주의해주세요.
리오도 원거리 평타 캐릭터로 상당히 힘들어 보일 수 있지만 지형이 평지의 가깝고 벽이 없다면 충분히 잡아낼 수 있습니다. 다만 지형이 안좋고 리오가 멀리서 화궁으로 간만본다면 교전을 피해주세요.
쇼이치가 먼저 궁을 쓰기전에 접근하여 E나무기스킬을 활용해 궁을 먼저 맞춰준다면 7할은 이겼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쇼이치가 궁써서 단검탈때 레녹스 궁의 출혈딜이 박히기 때문에 궁을 최대한 쇼이치보다 먼저 히트시켜주세요.
초중반(궁3렙전 실비아)의 경우는 상대할만 하지만 후반 실비아의 경우 상대하기 까다롭습니다. 최대한 실비아의 연료를 이동하는데 쓰게 만들어주시고 실비아가 오토바이E로 들어올때 레녹스의EW로 거리를 벌려 Q카이팅을 해주세요. 또한 인간폼 E를 맞는것을 주의해주세요.
너무 붙어서 수아의 Q와 E에어본을 계속 무지성으로 맞추지 않는 이상 상대하기 매우 쉽습니다. 다만 수아가 작정하고 도망가면 잡기 쉽지 않기때문에 포기해주세요.
윌리엄의 순간 폭딜이 생각보다 쌔서 윌리엄이라고 무시하면서 교전하다가 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윌리엄의 궁타이밍에 EW로 피하고 그 후에 교전을 한다면 이길 수 있습니다.
초중반에는 그냥 팰 수 있습니다 E에어본만 피하시면 되는데 레녹스의 특성상 매우 피하기 쉽기 때문에 상대하기 쉽습니다. 다만 후반 300스택 쇼우<< 이런건 조심해주세요.
유키는 E만 피한다면 충분히 상대하기 쉬운 상성입니다. E를 최대한 피해주시고 유키 단추매꾸는 타이밍에 레녹스 E나 무기스킬로 끊어주시면 더욱 편하게 교전할 수 있습니다. 다만 레바테인 유키의 경우 교전이 길어지면 발화딜에 타 죽기때문에 교전을 빨리 끝내는것이 중요합니다.
자히르는 모든 스킬이 논타겟스킬로 자히르와의 교전은 특히 자히르의 Q를 맞지 않도록 조심해야하는데 최대한 Q를 피하면서 딜교를 해주시고 만약 자히르의 에어본이 빠진다면 거리를 좁혀서 E나 무기스킬을 활용해 궁을 맞춰주세요.
요즘 알렉스는 다들 만천을 쓰는 스증빌드인데 레녹스보다 긴 사거리로 포킹을 하고 특히 가까이 갔다간 근접Q E 도발R을 맞는다면 그냥 피가 살살 녹기때문에 알렉스가 엄청 무리하면서 들어오는거 아닌이상 EW로 거리를 벌리면서 빼주세요.
저격총 아야를 제외하면 돌소와 권총아야 둘다 상대하기 매우 힘듭니다. 권총아야는 초반 호텔에서 자주 만나게되는데 템 차이가 많이 나는거 아닌이상 교전을 피해주세요 특히 아야가 E를 안쓰고 멀리서 평Q짤을 한다면 그냥 뒤도 보지말고 도망쳐주세요. 돌소아야는 기본적으로 레녹스의 상성으로 다른 원거리 평타 캐릭터의 비해서 단단하고 레녹스가 궁을 맞췄을때 제자리에서 말뚝딜을 하기때문에 궁을 온전히 사용할 수 없어서 이기기 상당히 힘든 실험체입니다.
초반 호텔생나 싸움에서 자주보이는 바바란데 생나 타이밍때는 레녹스의 탬밸류가 더 좋아서 싸울만 하지만 후반에는 바바라가 실수하지 않는 이상 이기기 힘듭니다. 최대한 포탑을 부셔주고 바바라 RW타이밍때 레녹스EW로 거리를 벌려주면서 교전해주세요.
상대하기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다른 평타 원딜 실헌체에 비해서 체력은 낮지만 궁극기를 통한 2페이지가 있기때문에 만약 레녹스 궁으로 하트 궁을 뺀다면 그 후 교전에서 상당히 불리하고 레녹스 궁 출혈딜이 하트 궁키면 안박히기 때문에 상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트가 궁이 있으면 실수하지 않는 이상 이기기 상당히 힘들고 만약 궁이 빠져있더라도 레녹스의 궁이 없기때문에 하트에게 교전와 교전을 하지 않는것을 추천합니다.
권아이솔과 돌소아이솔 둘다 상대하기 힘든데 레녹스가 들어올때 아이솔의 EW등으로 거리를 벌리고 트랩마저 깔아준다면 잡기 힘든 상성입니다. 하지만 Q를 피해주고 은신까지 카메라로 잡아준다음 선타로 교전을 시작해준다면 충분히 잡아낼 수 있습니다.
나딘과 초반에 교전을 한다면 할만하지만 중후반 이후에는 나딘의 갈고리나 궁을 모두 빼고 싸우지 않는이상 이기기 상당히 힘듭니다. 최대한 EW를 이용하여 궁을 뺀후에 각이 보이면 다시 교전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동성장의 로지는 이기기 매우매우 힘듭니다. 기본적으로 레녹스는 모든 평타 원딜 캐릭터에 약한 모습을 보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로지는 궁극기가 체력퍼뎀이라서 체력이 높은 레녹스의 특성상 더 이기기 힘들고 로지의 E로 레녹스의 스킬을 씹을 수 있는데 로지의 E가 판정이 상당히 후하고, E맞춘후, 넉백으로 거리를 좁히기도 힘들어서 상대하기 힘듭니다. 최대한 궁을 피한 다음, 무기스킬이나 E를 사용해서 궁극기를 먼저 히트시켜주세요.
만천 시셀라 기준으로 상대하기 매우 까다롭습니다 시셀라의 Q짤로 인해 거리좁히기가 힘들고 만약 그랩이라도 끌리면 암기무스 만천평타 맞고 골로 가버립니다. 또한 일방적으로 딜교를 시작해도 시셀라E가 있기 때문에 E 2타 넉백을 맞는다면 역킬각 당할 수 있으니 E를 빼고 재진입하여 교전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레녹스는 많은 CC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듀쿼드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픽입니다. 모든 실험체와 시너지가 좋지만, 레녹스의 부족한 딜을 채워주는 실험체 함께 사용하면 좋습니다.
스킨 안 낀 레녹스는 가짜 레녹스입니다 아무리 뉴비라도 레녹스 스킨은 꼭 사서 껴주도록 합시다.
이터널리턴 화이팅
# | Player | Tier | Games |
---|---|---|---|
1 | 百舌九 | Diamond 1 | 73 |
2 | 아카츠키 | Titan | 68 |
3 | 소재연 | Immortal | 58 |
4 | 바갱찬 | Immortal | 56 |
5 | LilyTree | Immortal | 48 |
6 | 바겡찬 | Platinum 1 | 46 |
7 | Lenox | Titan | 41 |
8 | eklfsak | Mithril | 39 |
9 | 테레사 | Platinum 4 | 38 |
10 | 론구링구링 | Immortal | 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