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공략에 앞서서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시즌 1과 시즌 2를 스킬증가 매그너스로 데미갓을 달성한 성골 스증 매그유저입니다.
누구보다 많이 했다고는 말은 못하지만 (거의 1000판 함)
제가 지금까지 스킬증가 매그너스를 하면서 느낀 점들을 다 적었습니다.
이 공략글을 읽는 분들이 스킬증가 매그너스를 조금이라도 더 이해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스킬증가 매그너스(이하 스증 매그)입니다.
공략글에 자세한 운용법이 없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솔로 기준)
이 루트는 매그 장인 연못여우님이 만드신 루트라 유명합니다.
(저도 비슷한 루트를 사용하고 있었음 아무튼 따라한거 아님)
매그너스는 스킬구성이 단순한 실험체입니다.
그만큼 상대를 제압하려면 다른 실험체보다 수싸움을 필요로 합니다.
폭주 바이크(R) > 17대 1(W) > 파쇄탄(Q) > 강타(E) > 맷집(패시브) 순으로 스킬을 마스터하면 됩니다.
(프리시즌4, 시즌 4 패치로 인해서 스킬 배우는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궁극기와 17대 1은 그대로지만 강타의 너프와 파쇄탄의 버프에 따라
강타와 파쇄탄의 스킬 배우는 순서가 조금씩 바뀌었습니다.
지금 파쇄탄과 강타 배우는 순서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배우면 됩니다.
만약 잘 모르겠다면 위에 써있는대로 써보고 자신의 입맛대로 맞게 바꾸면 됩니다.)
이 스킬은 논타겟임에도 시전시간이 0.43초로 꽤나 긴 편입니다.
그래서 맞추기가 어려운 데에 반해 많은 분들이 파쇄탄을 견제용으로 난사합니다.
스증 매그는 모든 스킬을 다 맞췄을 때 강하지 한 스킬이라도 빗나가면 꽤나 약해집니다.
파쇄탄은 특히 17대 1과의 연계 때문에 빗나갔을 때 리스크가 더 큽니다.
그래서 만약 파쇄탄(Q)이 빗나갔다면 상대방이 빗나간 것을 노려서 들어올 겁니다. (안 들어오면 다행 휴)
크게 다섯가지로 말씀드렸는데 이것보다 더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건 하시면서 익혀가야 해서 더 말씀드릴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스킬의 성공 유/무가 승패를 결정짓는 이유가 될 때가 많습니다.
스증 매그는 생각보다 많이 작은 차이로 이기고 집니다.
17대 1은 이동방해가 걸린 적을 다 맞췄을 때 어느 실험체의 스킬보다 강력한 스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짧은 사거리에 이동속도 감소가 붙어있는 스킬이기도 합니다.
(근데 원래 이동속도감소가 30%였는데 저도 모르게 20%로 줄었습니다.
이거 잠수함 패치인지 제가 패치노트에서 못본건지 무슨 보상인지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 알려줘)
아무튼 데미지만 놓고 보면 굉장히 강한 스킬입니다.
보통 이 스킬만으로는 데미지를 주기 어렵기 때문에
강타(벽꿍!) > 망치스킬 > 파쇄탄(Q) > 17대 1 > 폭주 바이크 순으로 콤보를 넣어서 상대를 제압합니다.
다른 콤보도 있지만 그건 캐릭터 운용 때 쓸게요.
이 스킬은 1레벨과 5레벨이 돌아가는 시간은 같은데 때리는 횟수가 다릅니다.
1, 2레벨 6회 / 3, 4레벨 7회 / 5레벨 8회로 다단히트가 다르게 들어가니 그 점을 기억해 주세요.
그리고 17대 1은 꼭 파쇄탄과 같이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대로된 데미지를 줄 수 없어요.
강타의 1.1초 기절로는 부족합니다. 파쇄탄을 맞춰야 쓸 수 있는 스킬이라고 외우면 될 것 같습니다.
혹은 마도서에 붙어 있는 슬로우 효과도 증가 데미지를 주니
파쇄탄(Q)을 맞추기 어려운 분들은 마도서 채용도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 스킬은 무려 <저.지.불.가>가 있습니다. (없었을 때 스증 매그 너무 힘들었음 ㅠㅠ)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에게서 도망칠 때 CC기를 17대 1(W)로 씹어서 도망가시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시는 꿀팁※
만약 2초의 CC기가 걸렸는데 1초 동안 돌다가 멈출 경우, 나머지 1초 동안 CC기에 걸리게 됩니다.
그리고 기절이 걸리면 그동안 17대 1(W)를 풀지 못해요.
17대 1은 사용하는 타이밍이 쉬운 스킬이라 크게 설명할 것이 없네요.
이 스킬은 궁극기를 제외하고 매그너스의 가장 좋은 스킬입니다.
매그너스 기준 상대방을 왼쪽으로 3미터를 날려서 벽에 맞을 경우
스킬 레벨 당 0.8초에서 1.2초까지 기절효과를 줄 수 있는 스킬입니다.
강타는 다른 실험체들이 부러워하는 스킬입니다. 확정 타겟팅 CC기이기 때문이죠.
조건부지만 그래도 타겟팅 CC기가 어딥니까? 정말 좋은 스킬입니다.
벽에 맞출 수 있을 때만 쓰시고 이 이외에 데미지를 준다는 생각으로는 사용하지 마세요.
파쇄탄만큼 신중하게 써야하는 스킬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매그너스는 스킬 구성이 단순합니다.
그만큼 상대방이 스증 매그를 파악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수를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가장 강력한 수인 강타를 아껴서 상대방이 대처하기 어렵게 만들어야 합니다.
가장 강력한 스킬인 강타는 최대한 벽에 맞출 수 있게 쓰고,
상대를 제압할 때는 다른 스킬의 쿨타임이 돌았는지 꼭 확인하고 사용하세요.
저는 이 스킬 때문에 스증 매그합니다.
정말 매력적이고 크고 강하고 아름답고 단단한(?) 스킬입니다. (폭발은 예술이야!)
이 스킬을 사용하면 매그너스가 바이크를 타고 저지불가 상태가 되지만 조작이 힘들어지고
벽이나 물체에 부딫히거나 한번 더 스킬을 사용해서 앞으로 발사시키면 폭발하는 스킬입니다.
단일 폭딜로는 이 스킬보다 강한 스킬은 없습니다.
현우의 핵펀치가 있지만 차징이라는 조건부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순간 폭딜로는 이 스킬을 따라올 스킬이 없습니다.
다만 이 스킬도 단점이 있는데... 정말 쓰레기같은 조작감이 있습니다.
저는 아직도 이 스킬을 쓸 때 빗나가는 일이 꽤 자주 일어납니다.
(내 실력이 아니라 조작감이 그런거임 아무튼 그런거임)
그 조작감을 커버하는 방법은 강타와 같이 감을 익혀서 직접 맞추는 것과
터졌을 때 상대가 맞을 수 있는 벽에 터트리는 방법입니다.
이 스킬은 원래 실험체나 야생동물을 맞추면 30초의 쿨타임 리턴을 받는 스킬이었지만,
현재는 도주용으로 빈번히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험체를 맞췄을 때만 40%의 쿨타임을 되돌려 받습니다.
(저는 이번 패치가 정말 좋다고 생각하는게 단기적으로는 안좋을 수 있으나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매그너스가 짠 패치를 받은 이유가 이 폭주바이크 때문이다 라고 생각해왔습니다.
폭주바이크의 도주 능력 때문에 지금까지 매그너스의 평균 순위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는데
이를 견제하기 위한 패치가 되었으니 이제는 운영자들이 매그너스의 전투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해서 패치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번의 이동기 없는 원거리 실험체란 리오, 자히르같이 이동기가 부족하거나 없는 실험체를 포함해서
이동기가 빠진 아야나, 하트, 아드리아나같은 애들에게 다가갈 때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외에도 많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스증 매그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렇게만 사용하셔도
충분히 잘 쓸 수 있을 겁니다.
망치 무기스킬은 시전시간이 0.5초지만 상대방의 방어력을 20% / 35%를 깎는 상당히 좋은 스킬입니다.
데미지도 준수하고 방어력 감소 시간도 5초 / 7초로 생각보다 길어서
너프를 많이 먹는 스증 매그에게 부족한 딜량을 채워주는 스킬입니다.
이 스킬 덕분에 매그너스의 데미지가 많이 강해집니다.
스킬 쿨타임이 길기 때문에 상대를 확실하게 제압할 때만 사용합시다.
무난한 취약 매그너스입니다. 데미지를 챙기고 싶을 때 채용하는 특성입니다.
단, 생각보다 물몸이 되니 신중하게 판단해서 싸우면 됩니다.
초보분들은 이 특성보단 아래에 있는 금강을 추천드립니다.
더 무난하고 안정적인 금강입니다.
방어력이 오르면 W 데미지가 오르고 패시브와 시너지가 좋은 매그너스에게 안성맞춤인 특성입니다.
주력스킬인 강타(E)로 금강을 터트린 뒤 17대 1(W)의 데미지를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싸우면 됩니다.
덤으로 금강에 슬로우 효과까지 붙어있어서 이동방해시 증폭효과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모로 매그너스와 잘 어울리는 특성이니 어느 루트를 가셔도 금강을 드는걸 추천드립니다. (평타 제외)
----------------------------------------
루트 설명에 앞서 게임 이터널리턴은 초반 파밍 속도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많은 초보분들이 파밍이 느려서 초반 싸움에서 밀리는데요.
파밍에서 가장 신경써야할 부분은 3가지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세가지 다 동선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만큼 동선이 중요하다는 말인거죠.
물론 파밍 속도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맵에 익숙해져서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실력이 느는 빠른 방법입니다.
이건 어떻게 알려드릴 수 있는게 아니라 게임을 많이 하다 보면 익혀지기 때문에 더 말할게 없네요.
또 초반 파밍은 다 먹는다는 생각보단 나에게 꼭 필요한 것들만 먹고
빠르게 다음 장소로 넘어간다는 마인드로 파밍하세요.
많은 초보분들이 실수하시는 부분입니다.
무기(필수) > 1코어 아이템 > 2코어 아이템 > 나머지 재료순으로 파밍 및 제작을 빠르게 하시고
바로바로 넘어가셔야 합니다. 그래야 동선 낭비를 하지 않고 뒤쳐지지 않습니다.
연못에서는 최대한 꼼꼼히 파밍하되 동선은 낭비하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파밍하세요.
연못 스킵 가능 재료는 원석, 곡괭이 1~2개입니다.
위의 사진을 봤을 때 잘 보셔야 하는 부분은 하늘색, 초록색, 주황색의 '1'인데요.
만약 스타팅 위치가 하늘색, 초록색, 주황색이라면 스타팅 가속으로 최대 효율을 내야 하기 때문에
헷갈리지 말라고 첫번째 상자를 열어야 할 곳을 표시했습니다.
표시된 상자를 1번으로 열고 동선대로 파밍하시면 효율적일거에요.
하다 보면 초록색 동선과 주황색 동선은 번화가로 가는 길목이 2개일텐데
웬만하면 가운데 길목보단 밑으로 가는 길목을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번화가를 보시면 알겁니다. 밑에서 설명드릴게요.
(수정) 초록색 동선은 연못 스타팅 중에 가장 안좋은 스타팅입니다.
왜냐하면 다른 실험체가 주황색 스타팅에 생기면 주황색 동선에게 박스를 먹히기 때문입니다.
그럴떄는 최대한 상대와 동선이 겹치지 않게 파밍해주세요.
그리고 또 특이한 점은 파란색 동선인데요.
다른 동선과는 다르게 번화가가 아닌 절로 갑니다.
왜냐하면 번화가로 가게 될 경우 동선낭비가 크게 생기기 때문에
동선의 최소화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운명의 망치를 조금 뒤로 미루고 절로 간 것입니다.
조금은 위험한 방법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고 이 루트에 적응이 되신다면 오히려 안전할 겁니다.
추가 꿀팁
어느정도 숙련되시면 연못에서 망치, 방망이를 추가 파밍해서 개밥바라기 빌드를 준비하세요
번화가는 빠르게 트럼프카드, 슬리퍼만 먹고 빠진다는 생각으로 파밍합시다.
번화가에서 스킵 가능 재료는 옷감 1~2개, 부채 1개입니다.
잘 보시면 초록색이 베스트 동선이고 주황색이 차선책인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차이는 초록색 박스들에 재료가 없을 경우, 그때 가면 되는 동선이 주황색 동선입니다.
이 때 절에 들어가는 입구가 달라지는데요. 차선책 동선으로 들어갈 경우 절에서 파밍이 망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여러분은 최대한 번화가에 빨리 와서 파밍을 하셔야 합니다.(근데 어려워요)
여기서 만년필을 하나 주워서 월왕구천 빌드업을 합시다.
월왕구천은 퍼센트 스킬증가 스텟이 중요한 매그너스에게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는 장식입니다.
시즌 4로 넘어오면서 전체적인 체력이 낮아짐에 따라 깡데미지가 좋아졌습니다.
우치와는 월왕구천이 나오기 전까지의 억까들을 방지하기 위해 가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치와가 안나온다면 쿨하게 인형까지만 만들고 넘어갑시다.
절에서는 최종무기인 천근추가 나오기 때문에 절까지 오는 속도가 빨라야 합니다.
절 스킵 가능 재료는 종이 1개입니다. 꼭 먹어야 할 재료는 불경만 드시면 되는데요.
사실 웬만하면 승복, 종이 하나, 천갑옷 정도는 있을 겁니다.
하지만 20판 중 한판정도는 다 없을 때가 있는데요.
그럴 때 다시 돌아가서 노란색 박스들을 털지 말고 그냥 양궁장으로 가는게 더 나을 겁니다.
불경, 옷감 빼고 다 있으니까 걱정마세요.
그리고 빨간색 동선을 보면 다시 유턴을 하는 게 보일 겁니다.
번화가의 차선책 동선으로 들어갔을 때의 절 동선인데요.
보이는 것처럼 동선낭비가 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번화가의 베스트 동선에서 끝내던가,
혹은 번화가에서 차선책 동선을 가다가 다시 베스트 동선으로 돌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 보면 초록색 박스들에는 거의 아이템이 있을 겁니다.
만약 없다면 다른 곳에 아이템이 남는 것이니 너무 걱정마세요.
절에서는 웬만하면 파밍이 되는 경우가 많으니 최소화한 동선으로만 파밍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드디어 마지막 루트 골목길입니다.
골목길에서 나오는 아이템은 전부 파밍을 하는 것이 좋고
여기서부터는 야생동물을 적극적으로 잡아주셔야 합니다.
위에 동선처럼 늑대를 먼저 잡고 곰을 잡는 것이 정석입니다.
보통 도착하면 곰은 나오지 않았고 늑대는 나와있습니다.
그허기 때문에 늑대 쪽을 먼저 가고 그 다음 곰 쪽으로 가는 겁니다.
그래서 가죽 파밍을 따로 하지 않고 여기서 파밍을 하면 되는 겁니다.
그 뒤로는 부족한 재료를 파밍하기 위해서 다른 곳을 가면 됩니다.
원래는 마도서를 사용했는데 메타가 바뀜에 따라 마도서와 지휘관의 갑옷 채용을
석양의 갑옷, 월왕구천으로 바꿨습니다.
요즘 메타가 방어력이 높아지고 체력이 내려가서 체력회복 효율이 떨어졌습니다.
치유감소 효과도 너프먹었구요.
그렇기 때문에 방어력 효율이 좋고 붙어서 때려야 하는 매그너스는 석양의 갑옷을 채용하고,
데미지가 부족함에 따라 월왕구천을 갑니다. 루트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냥 번화가에서 만년필하나 먹어주고 양궁장 가서 녹슨검만 파밍하면 됩니다.
-------------------
고정 스킬증폭와 퍼센트 스킬증폭의 차이점을 모르는 분들을 위한 강의
많은 초보분들이 아이템에 붙어있는 고정스킬증폭(+10)와 퍼센트 스킬증폭(10%)의 차이를 모릅니다.
이 차이를 알기 쉽게 예시로 설명드리자면
즉 고정 스킬증폭은 약한 데미지로 여러번 때릴 때 좋고
퍼센트 스킬증폭은 강한 한방 데미지일 때 좋은 스탯인 겁니다.
-------------------
저는 폭주 바이크(R)의 아름다운 데미지 때문에 스증 매그를 시작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도 폭주바이크(R)의 데미지를 포기 못해서 효율이 조금 떨어지는 월왕구천을 채용합니다.
여러분들은 마도서, 백우선 혹은 월왕구천을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선택 채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마도서 대신 백우선을 채용하실 거라면 번화가에서 부채, 못을 파밍해서 군선을 만들고,
골목길 이후에 묘지로 가서 깃털과 부족한 곡괭이나 원석을 같이 파밍하면 됩니다.
또 신발은 많은 분들이 의아해 하실 겁니다.
'왜 지금 효율이 안좋은 풍화륜을 가지? 등산화가 더 좋은데?' 라고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게 맞다면 등산화는 너프될 것이고 풍화륜은 버프될 것이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풍화륜을 고정으로 한 것입니다.
어차피 풍화륜과 등산화의 차이는 이터니티, 데미갓 수준에서나 느끼는 차이지
이 글을 읽는 초보분들의 티어에서는 이동속도 0.03의 차이는 모를 겁니다.
그냥 풍화륜 가셔도 무방합니다. 큰 차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체 아이템은 따로 설명을 드리지 않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직접 사용해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겪어보세요.
그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 겁니다.
이 네가지는 항상 명심하세요.
스킬 콤보 종류
스킬 콤보 종류에는 기본적으로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위에 동영상에는 마도서 채용시 콤보까지 넣었는데요.
영상에 나온 순서대로 설명드릴게요.
일단 스증매그가 콤보를 넣을 때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이정도만 생각하면 됩니다.
1. 기본 콤보 E > D > Q > W > R
스증 매그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국민 콤보입니다. 긴 설명은 안할게요.
신경써야 할 점은 무기스킬 이후에 파쇄탄을 써서 데미지를 최대화 시키는 것입니다.
2. 변형 콤보 Q > 다가가서 E > D > W > R
이 콤보는 파쇄탄에 붙어있는 시전시간을 최소화 시키는 콤보입니다.
상대방이 다가오거나 혹은 상대방이 어리바리할 때 먼저 선빵치는 변형 콤보입니다.
강타만 벽각나오면 가장 효율이 좋은 콤보이기도 합니다.
3. 선 궁 콤보 R > E > D > Q > W
이동기가 없는 상대가 멀리 있을 때 궁각과 벽각이 보이면 쓸 수 있는 콤보입니다.
보통 자히르나 리오 등 이동기가 부족하거나 없는 실험체에게 쓰기 좋은 콤보입니다.
벽각이 꼭 있어야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절을 못시킨다면 오히려 역관광을 당하니 벽각이 있을 때만 쓰세요.
4. 마도서 채용시 가능한 콤보 W > E 또는 Q > Q 또는 E > D > R
마도서를 채용한다면 마도서에 이동속도 감소 효과가 붙어있기 때문에 선 W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가능한 콤보고, 파쇄탄이나 강타는 상황에 맞춰서 쓰면 됩니다.
수가 한정적인 매그너스에게 변수를 만들어주는 콤보라 생각보다 유용합니다.
무기스킬은 궁극기 전에 써서 궁극기 데미지를 최대화 합시다.
운영법을 길게 설명하는 것보다 최대한 보기 쉽게 그림판으로 제작해봤습니다.
게임 초반, 중반, 후반으로 나눴으며
게임이 잘 풀렸을 때와 안 풀렸을 때로 나눴습니다.
이 운영법은 공식이 아닙니다.
초보분들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크게 정한거지 운영은 항상 유동적이게 해야 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면 위의 방법대로 하시면 조금은 편할겁니다.
스증 매그가 실질적으로 가장 약한 타이밍이기도 하고
죽었을 때 가장 짜증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그때까지 버티는 것도 실력인데요.
중반 타이밍에 무기숙련도가 적으면 상대한테 지는 상황이 많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몸을 사리면서 무기 숙련도를 높히세요.
만약 '내가 공장에 갔는데 야생동물이 없다.'
그럼 일단 옆 구역으로 가서 한번 쑥 둘러보고 다시 공장으로 가는 겁니다.
그럼 그 둘러보는 시간에 야생동물이 리젠되어 있을 것이고 그걸 잡는 겁니다.
공장의 야생동물을 다 잡았다면 아까 갔던 옆 구역을 다시 가서 숙작을 하는 거에요.
아무데나 가는 것보다 2구역을 왔다갔다 하는 게 조금 더 효율적이니 한번 시도해보세요.
물몸 + 이동기 적음 = 쉬움2
리오랑 비슷합니다.
현우는 상대 선빵필승만 빼주면 쉬운 실험체입니다.
다만 현우는 보통 탱템을 두르면서 상대를 깎아나가는 플레이를 하는데,
그걸 계속 당해주지 말고 그냥 서로 보내주거나 아니면 딜찍누를 하시면 됩니다.
이 녀석도 붙어서 때리는 실험체라 강타로 벽꿍만 잘 박으면 이깁니다.
다만 벽꿍을 실패했을 때는 매그너스도 위험하니 조심하세요.
물몸 + 이동기X = 개쉬움2
나타폰의 궁극기를 제외한 모든 씨씨기는 17대 1로 씹을 수 있습니다.
처음 마주칠 때 거리만 빠르게 좁히면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짤딜을 최소화 하세요.
물몸 + 이동기 적음 = 쉬움
리오는 맞딜이 강력해서 조금만 맞아도 빈사가 됩니다.
그러니 골목길에서 선 궁을 박아서 빠르게 다가가고 풀 콤보로 혼내줍시다.
그리고 얇은 벽을 넘으니 얇은 벽은 조심하세요.
물몸 + 이동기X = 개쉬움
다만 요즘 자히르는 탱템을 두르면서 짤딜 넣는 쪽으로 많이들 가니
무기 숙련도작이 잘 되고 자신의 이동속도가 빠르고 벽각이 있을 때만 덤빕시다.
희대의 악마년2입니다.
멀리서 불뿌리면서 툭툭치는데 너무 아픕니다.
이동기가 없어도 못다가오게 하고 선 궁으로 다가가면 이동기로 쓕 빠지고 아무것도 못하고
어느샌가 내가 보는 화면은 로비입니다. 아 공략글 쓰면서 화나네
아무튼 하이애나 아니면 피하세요.
희대의 악마년입니다.
아야의 이동기는 매그너스의 극카운터입니다.
웬만해선 만나면 피하시고, 만약 상대가 이동기를 잘못 썻다면 빠르게 궁극기로 접근하고 콤보를 넣어줍시다.
권총아야는 권총의 무기스킬 때문에 잘 빠져나갈 수 있으니 무기스킬도 인지하세요.
17대 1이 돌아갈 때 궁극기로 씹을 수 있는 다니엘입니다.
구조적으로 스증매그가 이기기 어려운 실험체입니다.
마주치면 싸우지 말고 그냥 도망갑시다.
치고 빠지기가 쉬운 엠마입니다. 구조적으로 거의 못잡는 실험체이고요.
상대가 실수해도 쉽게쉽게 빠져나가니 그냥 도망가세요
어차피 얘는 추격 능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견제기가 훌륭하고 이동기가 훌륭하고 궁극기가 훌륭하고 맞딜 능력도 훌륭하기 때문에
어떤 매그든 상대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몸이 종잇장이기 때문에
거리를 좁혔을 때 강타로 벽꿍을 해준다면 잡을 수 있습니다.
상대가 방심하도록 무빙을 치면 됩니다.
어떻게 하나구요? 모르면 맞으면서 배우세요 ^^
희대의 악마놈입니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매그너스와 구조적으로 복잡한 쇼이치가 만나면
쇼이치가 유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더 설명할 수가 없네요. 한번 맞아보세요.
비약(W) 스킬 때문에 궁극기가 끊깁니다. 도망칠 때 그것만 조심하면 무사히 도망칠 수 있습니다.
다만 쇼이치도 윌리엄처럼 숙달되기 어려운 실험체입니다. 저티어 쇼이치는 생각보다 잡기 쉬울 수 있어요.
그냥 한번 부딪혀 보세요. ㅎㅎㅎㅎ
미스릴 퀴버를 낀 윌리엄은 절대 못이깁니다.
멀리서 툭툭 치는데 그게 너무 아파요. 하지만 윌리엄은 숙달되기 어려운 실험체입니다.
공 0개 일때 빠르게 선궁, 강타 벽꿍을 노릴 수 있다면 죽일 수 있습니다.
구조적으로 이기기 어려우니 신중하게 상대하세요.
이 공략은 솔로 기준입니다.
(저도)
아무쪼록 이 글이 스증매그에 접근할 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즐거운 이터널리턴 게임 합시다.
궁금한건 제 트위치 채널에 오셔서 물어보세요.
보통 주중 오후에 킵니다. 저녁에는 없어요.
https://www.twitch.tv/lonesome11
# | Player | Tier | Games |
---|---|---|---|
No Data |